아랍지역동향

카타르 주간 정세 및 경제동향 (2019.05.03-05.09) 2019-05-13
카타르 주간 정세 및 경제동향
(2019.5.3-9)

2019.5.9(목), 주 카타르 대사관



1. 정치·외교 동향

가. Tamim 국왕 동향

ㅇ Tamim 국왕은 5.7 팔레스타인 서안 및 가자지구에 4억8천만불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지시함.
   
ㅇ Tamim 국왕은 5.5 주재국을 방문한 Thamir Abbas Al Ghadhban 이라크 경제 부총리 겸 석유장관과의 회담에서 양국간 에너지 분야 협력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함.



나. 카타르 정부 홍보처, 카타르항공 사장의 이집트인 비자 발급 중단 언급 보도 반박

 카타르 정부홍보처(GCO)는 5.6 성명에서 카타르는 전 세계 모든 나라에 개방되어 있다고 하면서, 특정 국민에 대한 비자 발급 중단은 카타르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강조함.
상기 사건은 Akbar Al Baker 국가관광위원회 사무총장 겸 카타르항공 CEO가 5.5 하계 관광 홍보 행사에 참석하여 이집트를 언급하면서 카타르 입국 비자는 우리의 '적'에게는 발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
※ 2019년 카타르 거주 총 인구는 270만 명으로 카타르인이 30만명이며, 외국인 중 이집트인은 20만 명으로 추산



다. 카타르 외교부, UAE 영해에서 체포되었던 카타르인 전원 무사귀환 발표

ㅇ 카타르 외교부는 UAE 당국에 4.30 체포 및 구금되었던 카타르인 전원이 본국에 무사귀환 하였다고 성명을 5.6 발표함. 상기 사건은 카타르 영해에 있던 보트가 기술적인 결함으로 인해 UAE 영해로 흘러가게 되어 발생



라. Thuqail Al Shammari 카타르 파기원 부위원장, 제4차 GCC 대법원 전문가 회의 참석

 Thuqail Al Shammari 카타르 파기원(Court of Cassation) 부위원장은 5.6 사우디에서 개최된 제4차 GCC 대법원 전문가 회의에 참석하여 GCC 국가들의 대법원 운영과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GCC 국가간 법원 통합 초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함.



마. 국방분야

 Ghanem Al Ghanem 카타르 군참모총장은 2019년 제14차 터키 이스탄불 방산 전시회(IDEF, 4.30-5.3 간 개최)에 참석함.
 카타르 군 국경수비대는 5.3 도하에서 2일 간 터키 군과 공동 군사 훈련을 실시함.
 





2. 경제/사회 동향

가. 2019년 라마단 기간 발표(5.6)

ㅇ 이슬람종교부는 2019년 라마단이 5.6에 개시된다고 발표함.
- 주요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오전9시~오후2시(5시간) 운영 방침



나. Hassad Food 식품회사, 태양열 관개 기술을 통해 사료 생산량 증대 계획 발표

ㅇ Hassad Food 식품회사는 5.5 태양열 관개 기술을 통해 연간 2만 톤의 사료 생산 목표를 발표함.
- Mohamed Al Mohannadi Hassad Food 담당자는 동 회사는 동물 사료에 대한 시장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환경 보존을 위한 최첨단 태양열 관개 기술을 사용하여 재배 면적을 확대, 전략적 제품의 품질과 양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부연



다. Khalid Al Sulaiti 카타라 문화재단 사무총장, GPDNet 의장직 인계

ㅇ Khalid Al Sulaiti 카타라 문화재단 사무총장은 5.4 터키에서 개최된 글로벌 공공외교네트워크(GPDNet: Global Public Diplomacy Network) 총회 행사에서 의장직을 공식적으로 인계받음.
※ GPDNet는 2014년 설립된 세계 공공외교 기관 간 첫 협의체로 2016∼2019년 간 터키 기관(유누스 엠르 인스티튜트)이 의장국이었으며 현재 한국·대만·싱가포르·필리핀·터키·스웨덴·나이지리아·헝가리·폴란드·포르투갈 등 세계 중견 10개국이 참여



라. 교통통신부, 카타르 메트로 운행 개시 발표

ㅇ 교통통신부는 5.6 카타르 메트로 레드라인 Al Qassar-Al Wakra 구간 운행을 5.8 개시한다고 발표함.
카타르 철도청은 시범운행 13개 역을 발표하고, 오전8시-오후11시까지 운행할 방침 끝.






주카타르대한민국대사관에서 작성한 자료입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주간 사우디 서부지역 사회 및 경제 동향 (2019.05.03-05.09)
다음글 카타르 주간 정세 및 경제동향 (2019.04.2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