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 자동차 산업현황 2020-11-08

-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하에 글로벌 OEM 및 부품업체 유치를 통해 자동차 산업 육성 추진 -

- 최근 코로나 및 유럽 시장 수요 둔화에 따라 생산 및 수출 정체 -

 

 

모로코는 유럽과의 지리적 인접성, 전 세계적 55개국과 FTA 체결, 낮은 인건비 등 생산거점으로서의 장점을 활용, 아프리카 제1의 승용차 제조국으로 자리매김 하는 등 자동차 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였으며  2025년 자동차 1백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함. 다만, 최근에는 코로나 여파 및 유럽 시장 부진에 따라 자동차 생산 및 수출이 정체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등 친환경 시장으로 자동차 산업이 개편되고 있어 향후 모로코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 여부에 관심이 주목됨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모로코 제조업 육성의 핵심분야로 수출확대일자리 창출 최우선

   - 산업가속화 계획(Industrial Acceleration Plan) 추진을 통해 기존 농수산업광업 중심에서 제조업을 적극 육성코자 함

    * 1차 계획(2014-2020)을 통해 제조업의 GDP 비중을 14%에서 23%로 확대 목표

   - 특히 르노, PSA 등 글로벌 OEM 및 부품업체를 유치현재 자동차(부품포함)가 수출 1위 품목이며 실업률 감소에 기여

    * 2019년 약 40만대 자동차를 생산이중 약 90%를 유럽중동 등으로 수출

 

  ㅇ 8대 세부분야를 중심으로 외국기업 적극 유치 노력

    - 유럽과 지리적 인접성, 전 세계 55개국(유럽/미국/중동 등)과 FTA 체결, 낮은 인건비 등 생산기지로의 장점 보유

    - 자동차 산업 내 Wire Harness, Metal Pressing, Motor and Transmission, interior and Seats, Batteries 등 8대 분야를 선정하고 외투기업 유치를 통해 산업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및 확대 추진

    - 이를 위해 탕제 등에 자유무역지대(Free Trade Zone)를 설치입주기업에게 법인세부가가치세 감면 등 세제 혜택과 함께 일정 요건 충족 시 투자금액에 따른 현금 보조 지원

 

□ 최신 기술 동향 및 주요 이슈

 

 ㅇ 전기차 등 친환경차 생산에 대한 관심 고조

    - 올해 10, PSA는 모로코 우체국과 100% 전기차인 ‘225 Citroen Ami’를 개발우편물, 소포 배달에 사용키로 계약 체결

    - 그동안 모로코는 저가 디젤차 위주로 자동차를 생산하였으나 이번 공공조달 프로젝트를 통해 친환경 분야에 첫발을 내딛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모로코 우체국에서 사용될 전기차 모델 >

external_image

자료 모로코 우체국


 ㅇ 모로코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여부 관심

    - 2025년 자동차 1백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2018년 약 40만대를 생산아프리카 제1의 승용차 생산국으로 발돋움하였으나 유럽 시장 부진으로 2019년에도 약 40만 대로 생산에 그침

   - 올해도 코로나 여파로 르노, PSA의 공장가동이 중단된 바 있으며 르노가 5월에 모로코 내 자동차 생산 확대 계획 연기를 발표하는 등 향후 성장 가능성이 불투명

   - 이에 모로코 정부는 르노, PSA 외 글로벌 OEM의 추가 유치를 적극 추진 중

 

□ 주요기업 현황

 

  ㅇ 완성차 르노 및 PSA가 모로코 내 생산공장을 운영 중

    - (르노) 2003년 현지 회사인 Somaca를 인수, 모로코에 진출하였으며 현재 2개 공장(카사블랑카탕제)에서 연간 약 40만 대 생산

    - 주로 저가의 Dacia 모델(Sandero/Logan/Lodge/Dakker)을 생산

    - (PSA) 2019년 6케니트라(Kenitra)에 공장을 신설생산을 시작하였으며 2020년에는 연간 20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

    - 현재는 Peugeot 208 모델을 생산

모로코 내 3개 자동차 생산공장 >

external_image

                                                                                      자료 : AMICA (모로코 자동차 협회)


 ㅇ 부품업체 와이어링 하네스인테리어 등 분야 약 250개 업체 진출

   - 대부분 외투기업이 르노, PSA 현지 생산에 따라 동반 진출하였거나 유럽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모로코에 진출

   - 르노 협력사는 관련 공장이 있는 탕제 또는 카사블랑카 인근에 주로 위치하며 PSA 협력사의 경우케니트라에 위치

   - 스페인프랑스 등 유럽의 글로벌 OEM에 납품업체의 경우 유럽과 가깝고 수출항이 발달한 탕제 자유무역지대에 위치 

 

분야/지역별 주요 Tier1 진출현황 >

주요 분야

진출업체명

공장수(진출지역)

Wire Harness

YAZAKI

3(탕제/케니트라)

LEAR

3(탕제/케니트라)

SUMIMOTO

8(탕제/케니트라/카사블랑카)

Interior and Seating

FAURECIA

3(케니트라/라바트)

TESCA

2(탕제)

LEAR

5(탕제/케니트라)

Metal Pressing

SNOP

1(탕제)

VIZA

1(탕제)

GESTAMP

1(카사블랑카)

Batteries

ELECTRA

1(카사블랑카)

ALMA BAT

1(카사블랑카)

MARIBAT

1(카사블랑카)

Power Train

JTEKT

1(탕제)

NEXTEER

1(케니트라)

BALDWIN

1(카사블랑카)

자료 : AMICA (모로코 자동차 협회)

 

산업의 수급 현황

 

 ㅇ 자동차 생산 및 수출

    - 2019년 총 403,275대를 생산(르노 394,902, PSA 8,373), 이중 약 89%인 358,314대를 유럽중동 등 해외 74개국에 수출

    - 이는 2018년 402,150대 생산, 358,779대 수출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럽 수요 감소추가 글로벌 OEM 유치 부진에 산업 확대 한계

    - 자동차 수출액 또한 2019년 331억 디람(약 34억 불)을 기록 전년 335억 디람 대비 소폭 감소

 

  ㅇ 내수

    - 2019년 자동차 판매는 총 165,918대로 전년(177,379)  대비 6.5% 감소하며 최근 4년 연속 증가하던 신차 판매가 하락세 전환

    - 특히 승용차 판매가 전년 대비 9% 감소하는 등 부진이 주요 원인

    - 승용차 시장은 현지 진출한 Dacia(29.9%), Renault(14.6%), Peugeot(7.3%) 가 각각 시장점유율 1,2,3위를 차지하며 전체 시장의 약 52%를 점유

    - 대부분 브랜드가 부진한 가운데 상위 10개 중 현대(0.6%), Citroen(4.8%)만 판매량이 증가하며 선전

    - 특히 포드(-45.8%), 닛산(-32.5%), 피아트(-31.5%)는 전년대비 판매량이 대폭 감소함

 

승용차 시장 상위 10위 브랜드 시장판매량 및 점유율 >

순위

브랜드

판매량(대수)

시장점유율

(%)

성장률

(%)

2018

2019

1

Dacia

48,163

44,228

29.9

-8.2

2

Renault

23,062

21,673

14.6

-6.0

3

Peugeot

11,316

10,818

7.3

-4.4

4

Hyundai

9,882

9,937

6.7

0.6

5

Volkswagen

11,810

9,668

6.5

-18.1

6

Citroen

7,483

7,844

5.3

4.8

7

Fiat

8,564

5,870

4.0

-31.5

8

Toyota

5,108

4,740

3.2

-7.2

9

Nissan

6,743

4,550

3.1

-32.5

10

Ford

7,359

3,988

2.7

-45.8

자료 : AVIAM (모로코 자동차 수입협회)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EU/미국/중동 등 전 세계 55개국과 FTA를 체결관세 혜택 가능

○ 특히 유럽과 지리적으로 인접

○ 낮은 인건비(공장노동자 월 280)

○ 전반적인 제조기반 미비로 주요 기계부품원재료 등 수입에 의존

○ 외투기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

○ 숙련공 부족

Opportunities

Threats

○ 아프리카 시장의 미래성장 잠재력

○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 코로나 확산에 따른 유럽 등 해외 수요 감소

○ 전기차 등 친환경 시장 확대


□ 유망분야

 

  ㅇ 향후 친환경차 중심 시장이동에 대비전기차 부품 등 선점 노력 필요

    - 현재는 저사양 디젤차를 주로 생산하나 유럽 등 글로벌 수요변화에 따라 수년 내로 전기차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생산 재편 가능

 

  ㅇ 코로나 회복 시자동차 생산능력 확충에 따른 제조설비 분야 유망

    - 시장여건 개선시 기본적으로 르노, PSA가 장기적으로 현지 생산 확대를 검토하고 있어 생산 자동화 등 설비 시장 수요확대 가능

 

  ㅇ 현지 생산 미비 또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고사양 부품 유망

    - 일반부품의 경우 르노, PSA 등 제조사별 현지 조달 비율이 존재하고 점차 상향되는 추세여서 단순수출을 통한 시장진입에 애로 존재

    - 다만 아직까지 현지 생산체계가 미비한 전장부품(ECU, Screen ), Braking system, Tyre 등 틈새시장 기회 존재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2020.11.8.)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781/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85668

첨부파일
관련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모로코 화장품 수입업체 인터뷰
다음글 모로코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