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정부, 2,290 여개 품목 대상 관세 인상 발표(6월 10일부) 2020-06-08

기존 0~15%의 관세를 평균 5~25%로 인상 -

- 우리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철강전력기자재 등 200여개 품목에 영향 예상 -

 

 


관세 인상 배경

 

사우디 관세청은 지난 5월 27일 홈페이지에 사우디 관세인상 수입품목 리스트를 게재했다. 2020년 6월 10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사우디 정부의 2020년 1분기 재정적자는 전년대비 23% 증가한 90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사우디 정부 재정수입의 67% 이상을 차지하는 국제유가도 OPEC+ 감산합의에도 불구하고 6월 초 기준 배럴당 35-4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지난 2020년 5월 11일 발표한 부가세 3(5->15%) 인상(2020.7.1.부 적용)조치에 이은 관세 인상은 Saudi Vision 2030 등 정부의 주요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재원 확보 목적으로 추정된다.

 

관세 인상 주요 내용

 

품목별 기존 0~15%의 관세율은 5~25% 수준으로 인상했다특히 한국의 사우디 주요 수출품인 수송기계(승용차 포함), 철강제품고무제품전력기자재가전제품 등이 모두 관세 인상에 포함됐으며이 중에서 철강제품 인상률이 평균 2배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의 사우디 주요 수출품목 관세 인상률

품목

HS Code

기존 관세

인상 후 관세

수송기계

8703

5%

7%

기계부품

8481

5%

10%

전력케이블

8544

12%

15%

변압기

8504

5~12%

15%

에어컨

8415

12%

15%

냉장고

8418

5%

10%

고무제품

4011

5%

15%

폴리에테르

3907

5%

6.5%

비합금강

7207

5%

10~12%

열연후판

7208

5%

10~15%

냉연

7809

5%

15%

도금재

7210

5%

12~15%

봉강선재

7213

10%

20%

자료사우디 관세청(Saudi Customs), KOTRA 리야드 무역관 가공

 

2019-20년 한국의 사우디 수출 상위 품목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MTI 2단위)

2019

2020년 1-4

비고(MTI 4단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수출 총계

3,697

6.4

1,183

9.8

 

수송기계(74)

1,541

4.3

460

19.3

승용차(14.1%), 자동차부품(51.0%), 화물자동차(59.0%), 특장차(149.9%)

철강제품(61)

309

1.5

103

7.7

아연도강판(14.2%), 철강관(68.0%),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11.0%), 중후판(57.6%)

석유화학제품(21)

259

9.1

82

9.0

합성수지(3.9%), 기타 석유화학제품(27.0%),

기초유분(20.2%), 알루미늄 조가공품(19.6%)

고무제품(32)

199

24.4

64

21.6

타이어(21.4%), 타이어 튜브(30.4%),

산업기계(72)

199

40.5

60

31.2

건설중장비(46.2%), 화학기계(194.8%), 기타 산업기계(9.6%)

전기기기(84)

161

53.4

48

10.8

접속기 및 차단기(35.4%), 전선(32.9%), 배전 및 제어기(4,843.0%), 변압기(45.4%)

기초산업기계(71)

177

5.1

54

29.4

공기조절기(79.8%), 펌프(24.2%), 주단강(16.5), 가열난방기(940.3%)

직물(43)

113

25.8

35

24.4

폴리에스터직물(16.4%), 편직물(49.7%), 폴리에스터단섬유직물(24.6%)

비철금속제품(62)

112

7.6

36

13.2

아연괴 및 스크랩(14.0%), 알루미늄조가공품(19.6%)

가정용 전자제품(82)

82

3.7

31

25.7

세탁기(52.4%), 컬러TV(19.1%), 카스테레오(70.0%), 냉장고(17.4%)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주변국(GCC 협력국동향

 

UAE는 GCC 국가 중 사우디와 부가세 및 관세 정책을 가장 긴밀하게 공유하는 국가이며부가세도 2018년 사우디와 함께 도입을 시작했다그러나 UAE는 최근 사우디의 부가세 3배 인상 발표(5월 11일)가 있은 직후 UAE는 부가세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 않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UAE 주요 민간경제협력단체인 UAE Family-Owned Business Group는 두바이 재정위원회에 부가세관세 인하 등 민간분야 경제지원 정책추진을 요청하는 공식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UAE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경기부양책 일환으로 식품 및 소비재 수입관세 20% 환급세관 수수료 최대 90%까지 환급을 결정하는 등 관세 인상보다는 인하에 무게를 두고 정책을 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현지진출 국내 지상사 및 주요 수입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이번 관세인상으로 인해, 한국의 대 사우디 수출 품목 중 약 200여개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주요 품목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브레이크 패드, 펌프 등), 프로젝트 기자재(케이블, 변압기, 벨브, 파이프, 열교환기 등), 가전제품(냉장고, 에어컨 등) 섬유 등이다.

 

관세 인상으로 인한 우리 기업 제품의 가격 경쟁력 확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국의 사우디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의 경우 관세가 5%에서 7%로 증가한다자동차의 경우 제품단가가 높아 2%p의 관세 인상만으로도 소비자에게 는 큰 부담이다. 휴대폰,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경우도 관세 인상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높아진다면 국내기업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제품의 소비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전력기자재(케이블변압기 등), 기계부품고무제품철강제품(비합금강, 열후판냉연도금재등 제조업 기자재의 관세 인상폭(3%p~10%p)이 다른 품목에 비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상기 품목의 관세 인상은 정부 세수 증대 목적도 있겠지만 Saudization(현지화) 정책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2016년 빈 살만(MBS) 왕세자가 선포한 Saudi Vision 2030 정책 일환으로 자동차, 조선, 신재생에너지, 방산 등의 제조업 육성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의 킹 살만 조선소(부두 9㎞, 1,110만㎡) 건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조선소 완공 이후인 2021년 선박 건조가 본격 시작되면 앞서 언급한 철강제품, 전력기자재, 기계부품 등 조선 관련 제품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사우디는 제조업 기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관세 인상은 외국기업에게 단순 제품수출 보다 현지 생산공장 진출 검토를 요청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 품목의 관세가 인상되었지만일부 동결된 품목도 있기 때문에 수출희망 품목의 관세인상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도 있다관세 인상표(2020.6.4.)는 해당 게시글 하단부 또는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사우디 관세청 홈페이지(https://www.customs.gov.sa/en)는 Chrome에 최적화돼 있으며, Internet Explorer를 통한 접속 시 파일 다운로드, HS Code 검색 등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우디 관세청 홈페이지 관세 인상표 공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d44b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92pixel, 세로 725pixel

붉은 글씨 클릭 후 관세율 인상표 다운로드(아랍어 홈페이지만 가능)

자료사우디 관세청(https://www.customs.gov.sa/ar/Integrated-Tariff)

 

관세 인상표 확인 방법

 

1: 붉은색으로 표기한 가장 좌측 열이 인상된 관세

2: 관세 인상표에 HS Code 없을 시 관세 인상 미포함

자료사우디 관세청

 

사우디 관세청 영문 HS Code 검색 방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d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7pixel, 세로 845pixel

사우디 관세청 홈페이지 접속 → HS Code 4자리 단위 검색

자료: 사우디 관세청(https://www.customs.gov.sa/en/customsTariffSearch)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0.6.8.)

http://news.kotra.or.kr/

첨부파일
관련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사우디 중앙은행, 시중은행 송금에 블록체인 적용 성공
다음글 사우디, 2020년 7월부터 부가세 3배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