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유아용품 시장동향 2020-07-10

합계출산율 2.3천 명당 출생률 17.3명으로 유아인구 빠르게 증가 -

여성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소득 증가로 유아용품 시장 유망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조제용 분유 : HS Code 1901.10

  ㅇ 유아용 의류 : HS Code 6209.20

  ㅇ 유아용 보행기 : HS Code 9403.70

  ㅇ 유아용 장난감 : HS Code 9503.00

  ㅇ 기저귀 : HS Code 9619.00

 

□ 시장규모

 

  ㅇ 시장조사 전문기관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2019년 사우디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약 17억 8,420만 달러로 추정

    - 사우디 유아용품 시장은 2017년 이후 연간 3%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9년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17억 8,420만 달러 기록

    - 2020년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4.7% 성장한 18억 6,85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며, 2022년에는 시장 규모 20억 달러 이상 전망

 

2017-2022년 사우디 유아용품 판매액

(단위백만 달러, %)

구분

2017

2018

2019e

2020f

2021f

2022f

합계

1,655.5

1,726.9

1784.2

1,868.5

1,938.0

2,041.7

증가율

3.6

4.3

3.3

4.7

3.7

5.4

: 2019-22년 전망치

자료유로모니터

 

  ㅇ 3,400만 인구로 GCC 6개국 중 가장 큰 단일시장 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9년 인구 증가율 또한 2.4%로 매우 높은 수준

    - 인구의 50%가 30대 이하이기 때문에 결혼 적령기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중

    - 여성 1인당 출산율이 약 2.3명에 달해 사우디 유아 인구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14-19년 사우디 합계출산율 및 출생률

(단위: 명)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합계출산율

2.5

2.4

2.4

2.3

2.3

출생률(천 명당)

19.4

18.9

18.3

17.8

17.3

자료유로모니터

 

□ 수입동향

 

  ㅇ 2019년 사우디의 조제용 분유(HS Code 1901.10) 수입액은 총 5억 8,054만 달러 기록

    - 프랑스가 1억 5,136만 달러로 1위를 기록했으며수입 비중은 26.1% 수준

    - 프랑스 뒤로는 아일랜드 18.2%, 스페인 14.8%, 네덜란드 10.2%, 스위스 8.9% 순임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총 409만 달러이며수입 비중은 약 0.7% 수준

 

2019년 사우디 조제용 분유(HS Code 1901.10)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구분

분유(HS Code 1901.10)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프랑스

151,360

26.1

2

아일랜드

105,832

18.2

3

스페인

86,024

14.8

4

네덜란드

59,074

10.2

5

스위스

51,825

8.9

6

싱가포르

44,226

7.6

7

독일

44,083

7.6

8

폴란드

24,927

4.3

9

대한민국

4,094

0.7

10

미국

2,768

0.5

 

합계

580,541

100

: HS Code 6단위 기준, 2020년 7월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ㅇ 2019년 사우디의 기저귀(HS Code 9619.00) 수입액은 총 1억 1,892만 달러 기록

    - 이집트가 4,003만 달러로 수입시장 1위를 기록수입비중은 33.7% 수준

    - 일본의 다국적 기업 Unicharm의 생산공장이 이집트에 있으며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기저귀가 중동 전 지역으로 수출 중

    - 이집트 뒤로는 터키 14.4%, 바레인 11%, 레바논 7.8%, 독일 4.8%의 수입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2019년 사우디 기저귀(HS Code 9619.00)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이집트

40,038

33.7

2

터키

17,160

14.4

3

바레인

13,061

11.0

4

레바논

9,281

7.8

5

요르단

6,110

5.1

6

독일

5,729

4.8

7

이탈리아

4,527

3.8

8

중국

3,196

2.7

9

태국

3,005

2.5

10

그리스

2,804

2.4

 

합계

118,925

100

: HS Code 6단위 기준, 2020년 7월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ㅇ 2019년 사우디의 유아용 장난감(HS Code 9503.00) 수입액은 총 2억 1,692만 달러 기록

    - 중국이 1억 8,308만 달러로 수입시장 1위를 기록했으며수입비중 또한 84.4%로 압도적인 수준

    - 그 뒤로는 이탈리아 7.7%, 미국 1.9%, 대만 0.6%, 베트남 0.6% 순임

    - 한국은 전체 12위로 59만 6,000달러를 기록했으며시장 점유율은 0.3% 수준

 

2019년 사우디 유아용 장난감(HS Code 9503.00)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중국

183,051

84.4

2

이탈리아

16,721

7.7

3

미국

4,195

1.9

4

대만

1,264

0.6

5

베트남

1,210

0.6

6

영국

913

0.4

7

멕시코

848

0.4

8

인도네시아

801

0.4

9

그리스

711

0.3

10

스페인

692

0.3

 

합계

216,992

100

: HS Code 6단위 기준, 2020년 7월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ㅇ 2019년 사우디의 유아용 보행기(HS Code 9403.70) 수입액은 총 3,540만 달러 기록

    - 중국이 수입시장 전체의 44.7%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수입액은 총 1,581만 달러

    - 그 뒤로는 터키 10.7%, 이탈리아 5.8%, 프랑스 4.8%, UAE 4.3%의 수입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약 27,000달러로 전체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없음

 

2019년 사우디 유아용 보행기(HS Code 9403.70)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중국

15,812

44.7

2

터키

3,771

10.7

3

이탈리아

2,039

5.8

4

프랑스

1,686

4.8

5

UAE

1,545

4.4

6

미국

1,508

4.3

7

스페인

1,342

3.8

8

말레이시아

922

2.6

9

인도네시아

813

2.3

10

요르단

682

1.9

 

합계

35,401

100

: HS Code 6단위 기준, 2020년 7월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ㅇ 2019년 사우디의 유아용 의류(HS Code 6209.20) 수입액은 총 5,047만 달러 기록

    - 중국과 인도가 사우디 유아용 의류 수입 시장의 73.9%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이 40.9%로 수입시장 점유율 1인도가 33%로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금액으로는 중국 2,065만 달러인도 1,664만 달러임

    - 그 뒤로는 방글라데시 5.6%, 파키스탄 3.7%, 태국 3.6% 등이 있음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 약 88만 1,000달러이며수입비중은 약 1.7% 수준

 

2019년 사우디 유아용 의류(HS Code 6209.20) 수입 동향

(단위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중국

20,659

40.9

2

인도

16,647

33

3

방글라데시

2,840

5.6

4

파키스탄

1,873

3.7

5

태국

1,830

3.6

6

필리핀

1,246

2.5

7

스리랑카

1,143

2.3

8

한국

881

1.7

9

이탈리아

587

1.2

10

베트남

447

0.9

 

합계

5,047

100

: HS Code 6단위 기준, 2020년 7월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 시장 트렌드

 

  ㅇ 조제용 분유

    - 프랑스아일랜드스페인네덜란드 등 유럽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사우디 여성은 출산 후 평균 3개월 간 모유 수유를 하고 있으며이는 WHO가 권장하는 모유수유 기간인 6개월의 절반 수준

    -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모유수유 기간은 지속적으로 짧아지고 있으며이에 따른 조제용 분유 소비가 계속 증가하는 상황

    - 건강웰빙 트렌드가 지속되고 있으며유기농 이유식에 대한 수요 증가 추세

 

  ㅇ 기저귀

    - 2017년 이후 시작된 사우디 정부의 자국민 의무고용 정책으로 외국인 노동자 가정의 이탈 및 출산율 감소로 시장규모 소폭 감소 추세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사우디 기저귀 시장은 전년대비 약 1% 감소한 4억 7,997만 달러 기록

    - 촉감내구성 등 여러 기능 중 사우디 소비자가 가장 중시하는 기능은 흡수율의 야간 지속성임

    - 대용량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사우디 소비자 특성으로 사은품을 동반한 메가/점보 팩 단위의 기저귀 판매가 인기


  ㅇ유아용 화장품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에 따른 가처분 소득 증가가 유아용 화장품 소비 증가에 영향을 미침

    - 의약치료용 기능성 유아용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며주요 기능성 유아용 화장품 브랜드로는 Mustela, Sebamed, QV, Bioderma, La Roche-Posay, Cetaphil 등이 있음

    - 유아용 세면용품 시장규모는 2017년 총 7,085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전년대비 8.9% 성장한 7,719만 달러를 기록

    - 유아용 물티슈의 판매액은 2018년 2,113만 달러를 기록비록 작은 시장규모이지만 최근 5년간 53.3%의 시장 성장률을 기록하며 틈새시장으로 주목받기 시작

 

2018년 사우디 유아용품 유형별 판매액

(단위백만 달러)

구분

유형

판매액

사진

분유

조제분유

743.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erelac.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7pixel, 세로 28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imilac.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8pixel, 세로 249pixel

건조식품

192.9

조리식품

44.1

기타

16.8

기저귀

표준형

213.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amper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3pixel, 세로 29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aby Jo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pixel, 세로 209pixel

아동용

152.2

신생아용

103.6

일회용 속옷

10.5

유아용 화장품

헤어케어

86.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Johnson'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0pixel, 세로 3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ustel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6pixel, 세로 336pixel

세면용품

77.2

스킨케어

45.3

물티슈

21.1

기저귀 발진크림

19.0

선케어

0.6

합계

1,726.9

 

자료: 유로모니터, Souq.com, tamimimarkets.com(사진)

 

□ 경쟁 동향

 

  ㅇ 스위스일본미국의 3개 기업/브랜드가 각 품목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

    - 분유는 Nestlé의 Cérélac(스위스)기저귀는 Unicharm의 Baby Joy(일본), 유아용 화장품은 Johnson & Johnson의 Johnson's(미국)이 시장점유율 1위 차지

 

  ㅇ Cérélac

    - 스위스의 다국적 식품기업 Nestlé가 보유한 인스턴트 분유 및 시리얼 브랜드이며, 2011년 젯다에 Nestlé Saudi Arabia LLC를 설립하여 현지 생산 중

    - 주 제품인 분유이유식에 대한 소비자 충성도가 확고하여 최근 5년간 사우디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

    - 2018년 신제품으로 철분과 과일을 첨가한 제품을 출시시장점유율을 더욱 확대하였으며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을 통한 SNS 마케팅 역시 활발

    - 기타 사우디 내 주요 분유 브랜드로는 Similac(2, 8.2%), Blemil(3, 6.8%) 등이 있음


  ㅇ Baby Joy

    일본의 위생용품 기업 Unicharm 산하 기저귀 브랜드로 1992년 리야드에 Unicharm Gulf Hygienic Industries Ltd를 설립베이비 케어 제품 'Baby Joy', 여성 케어 제품 'Sofy', 성인 케어 제품 'Lifree' 등을 생산

    - 해당 법인은 사우디 전역 14개 지점을 통해 제품을 유통하고 있으며 MENA 지역 27개국에 제품을 수출 중

    - 또한 Unicharm은 이집트에 생산 법인 Unicharm Middle East & North Africa Hygienic Industries S.A.E를 운영 중이며 이집트는 2019년 사우디 기저귀 부문 수입 비중 1위 국가(33.7%)

    - 미국 P&G 산하 브랜드 Pampers와 근소한 차이로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 중이며 대용량 팩증정품쿠폰 제공 등을 통한 치열한 프로모션 경쟁 중


  ㅇ Johnson's

    미국의 대표적인 제약회사이며 사우디 로컬 의약품/소비재 전문 유통업자인 Al Naghi와 2016년 합작, Johnson & Johnson Consumer Saudi Arabia Ltd를 설립

    - Johnson's는 Johnson & Johnson 산하의 유아용 화장품 및 스킨케어 브랜드

    - 전체 유아용품 브랜드 중 가장 광범위한 제품 라인업유통채널합리적인 가격마케팅 캠페인 등을 바탕으로 유아용 화장품 시장점유율 압도적 1(52.2%)

    - 신제품 개발에 투자를 집중, 2018년 Johnson's 최초의 기능성 제품으로 사우디 소아과 협회의 인증을 받은 ‘Head to Toe’ 바디워시 및 크림을 출시

 

□ 유통구조 및 관세율

 

  ㅇ (유통구조유로모니터에 의하면 유아용품 전체 판매의 약 98.3%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고 있음

    - 주말단위 쇼핑이 익숙한 사우디의 소비문화와 더불어 다양한 프로모션 적용(ex 할인, 1+1)이 유리한 유아용품 판매 특성 상 까르푸, Lulu, Danube 등 하이퍼마켓이 판매채널이 54.6%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한편 약국과 드럭스토어를 포함한 헬스 뷰티 전문 판매채널은 전체 유아용품 판매 중 32.1%를 기록향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

 

  ㅇ (관세율)

    - 조제용 분유(HS Code 1901.10) : 0%

    - 유아용 의류(HS Code 6209.20) : 5%

    - 기저귀(HS Code 9619.00) : 5%

    - 유아용 보행기(HS Code 9403.70) : 15%

    - 유아용 장난감(HS Code 9503.00) : 5~15%

      * HS Code 9503.00이하 제품 중 자전거자동차스쿠터 등 바퀴달린 유아용 장난감은 관세율 5%, 퍼즐게임기 등은 15%

 

□ 시사점

 

  ㅇ 유아용품 시장은 합계출산율출생률 등 인구관련 거시지표에 민감

    - 2019년 인구 증가율 2.4%를 기록약 3,400만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GCC 6개국 중 가장 큰 단일시장 규모임

    - 여성 1인당 출산율 또한 2.3명에 달해 유아 인구증가에 긍정적 요소

    - 인구의 50%가 30대 이하로 결혼적령기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유아용품 시장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

 

  ㅇ 건강을 고려한 분유이유식과 기능성(의약/치료용유아용 화장품 유망

    - 건강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고가의 프리미엄 분유 및 이유식이 성장글루텐 프리제품 및 유기농 제품의 인기 증가

    - 유아용 분유화장품에는 저가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 특성 상 프리미엄 제품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 베이비 로션의 경우 단순 보습기능보다는 아토피발진 치료 및 아기 피부 개선을 고려한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 한편 기저귀의 경우 프리미엄 제품 출시보다는 점보메가 팩과 같은 대용량 단위의 판매와 할인 프로모션이 구매 유도에 효과적

 

  ㅇ 슈퍼마켓은 유아용품의 가장 큰 판매채널이며 약국/드럭스토어가 뒤를 이음

    - 까르푸, Lulu, Danube, Tamimi 등 다양한 종류의 슈퍼마켓이 압도적인 매장 수를 바탕으로 유아용품 유통채널의 54% 이상을 장악하고 있음

    - 사우디는 주말 가족단위의 쇼핑이 발달하였고슈퍼마켓은 각종 오프라인 이벤트 및 할인 프로모션 적용이 가장 용이

    - 한편 2019년 기준 약국 및 드럭스토어는 유통시장의 32%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유아용 화장품프리미엄 조제용 분유를 전문으로 취급

 

  ㅇ 소비자와 감정적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소셜마케팅이 필요

    - 3,400만 인구 중 약 68%인 2,300만 명 이상이 SNS를 사용하고 있으며, SNS는 유아용 제품뿐만 아니라 전 제품 소비 결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

    - 유아용품은 소비자의 입소문에 가장 민감한 상품이며 브랜드가 아기에게 적합하지 않을 시 대부분의 경우 사용을 중단해당 브랜드를 재구매하지 않음

    - TV, 라디오 등을 활용하는 기존 ATL(Above-the-Line) 마케팅 방식 보다는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SNS를 활용하는 BTL(Below-the-Line) 마케팅 전략이 효과적

    - 현재 사우디 유아용품 각 부문별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은 전부 Middle East 지역을 대상으로 한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 등 다양한 SNS 채널을 운영 중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0.7.10.)

http://news.kotra.or.kr/ 

첨부파일
관련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사우디 의류 액세서리 시장동향
다음글 사우디 여성의류 시장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