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뉴스

한-중동 식량 에너지 안보 포럼 개최(11.1) 2023-11-07

 

한국-아랍 소사이어티(KAS)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주최하고 대한민국 외교부가 후원한 ‘2023 -중동 식량 에너지 안보 포럼이 지난 111일 무역협회 중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동 포럼에는 정철 KIEP 부원장, 김창모 KAS 사무총장 및 미샬 알쿠와리 주한카타르대사관 대리대사 등 일부 주한 아랍 외교관 이외에도 한-중동 식량 에너지 안보에 관심이 있는 학계 및 일반 참석자들이 참여하였다.

 

이번 포럼은 2세션으로 구성되어, 1세션은 한-중동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협력, 2세션은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한-중동 협력이라는 주제하에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1세션의 발표자인 한국외대 김강석 교수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한 MENA 지역 미디어의 식량안보관련 인식과 MENA 국가들의 대응 상황을 소개하였고, 한국 기업의 MENA 지역 진출을 위해서 민관파트너십(PPP) 협력 촉진 및 공적개발원조(ODA)ESG를 통합하는 안 등을 제안하였다

 

튀니지 카르대고대학교 경제학과의 나비하 부주위타 교수는 튀니지의 식량 안보 상황 및 당면 과제를 설명하고 해결 방안으로서 식품 과학(Food Science) 연구를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식품 폐기물 및 부산물의 가치화를 제안하였으며 그 사례로 올리브 오일 및 와인, 아몬드 제조 과정의 부산물을 활용하여 영양 식품을 재생산하는 방안 등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KIEP 노윤재 인도남아시아팀 부연구위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민의 인식도 및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전 세계 192개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한 대중의 기후변화에 대한 여론 조사를 소개하였다. 그 결과 남미 응답자들이 기후 변화에 대해 가장 높은 비율로 우려하였고, 서남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응답자들의 경우 그 비율이 가장 낮았다.

 

KIEP 강문수 아프리카중동팀 팀장은 MENA 지역의 식량안보관련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의 경우 GCC 국가에 비해 상황이 열악함을 지적하고, 그 이유로 높은 식량 수입 의존도, 물 부족 및 토양 황폐화 문제, 식량 가격 보조금, 도시 인구 압력을 원인으로 지적하는 한편, -중동 협력 사업으로 담수화 사업, 농작물의 유전적 개량,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관개, 스마트팜 등을 제시하였다.

 

2세션의 첫 번째 발표자였던 프랑스 코트다쥐르대학교 아딜 븐 유시프 경제학과 교수는 중동 지역 내 재생에너지는 수자원, 에너지, 식량 안보의 핵심으로 2024년까지 50%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존의 가스 발전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그보다 20배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며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해서는 심층적 개혁과 역동적인 금융 시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이어서 이집트 카이로대학교 할라 아부 알리 경제학과 교수는 MENA 국가 중 석유 비생산 국가의 경우 기후 변화 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에 문제를 겪고 있으며, 기후 변화가 사회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불균형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하는 한편, 중동지역의 경우 태양광 패널의 설치 비용면에서 비교 우위가 있음을 설명하였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순환 탄소 경제 프레임워크를 소개하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역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KIEP 유광호 아프리카중동팀 전문연구원은 화석연료 수요가 가까운 미래에는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나, 에너지 전환의 교두보 역할을 할 천연가스의 개발이 중동 지역에서 가속화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집트 등에서 블루수소 기술개발이 진행중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천연가스 공동 개발, FLNG,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사업 및 블루수소 관련 공동 기술 개발 및 인적자원 교류 분야에서 한-중동 협력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첸 UAE 칼리파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 교수는 걸프국에서 한국 기업은 어떻게 저탄소 전환을 활용할 수 있는가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CCS(탄소포집저장) 기술을 사용한 저탄소 및 저배출 화석 연료 지원 및, 정유업, 철강 업계의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블루 암모니아 수입 등을 제안하였으며, 걸프 기반 한국 기업을 위한 청정 에너지 인증 이용, -UAE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활용 등을 언급하였다.

 

첨부파일
관련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제19차 한-중동 협력포럼 개최 결과
다음글 두바이공항프리존 투자환경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