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일반사항
  • o 국명 : 예멘 공화국(Republic of Yemen, Yemen)
  • o 수도 : 사나(Sana'a)
  • o 인구 : 3,165만 명 (IMF, 2019. 10.)
  • o 민족 : 아랍인(에티오피아계 및 유태계 소수 혼재)
  • o 면적 : 527,968㎢ (한반도의 2.4배)
  • o 언어 : 아랍어
  • o 종교 : 이슬람교(수니파 65%, 시아파 35%)
  • o 통일 : 1990. 5. 22. 평화적 통일 후 1994. 7. 7. 무력 재통일(북측 승리로 내전 종결)
경제사항
  • o 명목GDP : 299억 달러 (IMF, 2019년)
  • o 1인당 명목GDP : 943달러 (IMF, 2019년)
  • o 경제성장률 : 2.1% (IMF, 2019년)
  • o 교역규모 : 56.6억 달러 (EIU, 2019년)
  • - 수출 : 8.3억 달러
  • - 수입 : 48.3억 달러
  • o 화폐 : 예멘 리얄 (Yemeni Rial, 1US$=585 YER)
  • o 주요 자원(BP)
  • - 석유 매장량 : 30억 배럴 (세계 28위, 점유율 0.2%)
  • - 천연가스 매장량 : 0.3조㎥ (세계 39위, 점유율 0.1%)
정치현황
  • o 2015. 1. 후티 반군의 대통령궁 점령 후 Abdrahbu Mansour Hadi 대통령 사임 및 Khaled Bahah 총리 등 내각 총 사퇴
  • o 2015. 2. 시아파 후티 반군이 Saleh 전 대통령 세력과 제휴하여 실권 장악, '헌정 중단' 선언
  • o 2015. 4. 유엔 안보리, 예멘 관련 결의 2216 채택(Hadi 대통령 정통성 인정)
  • o 후티측(Saleh 前대통령 측 포함)은 수도 사나에 임시 통치기구 '최고정치위원회' 설치, Hadi 정부 측은 사우디(리야드)와 남부 Aden(임시수도, 2015. 7.)에서 정부 운영
  • - Hadi 대통령은 아덴과 리야드에 번갈아 체류
최근 주요정세
  • o 2011. 2. (아랍의 봄 확산) 살레 대통령 퇴진 요구 시위 발생
  • o 2012. 2. 살레 대통령 사임 → 과도정부 출범
  • o 2014. 9. 14. 후티 반군, 수도 사나 점령
  • o 2015. 3. 26. 하디 대통령, 사우디(리야드)로 피신 / 사우디 주도 아랍 동맹군, 예멘 공습 전개
  • o 2015. 4. 14. 유엔 안보리, 예멘 관련 결의 2216호 채택
  • o 2015. 6. 15. 유엔 중재 제1차 평화협상 개최 → 합의 도출 실패
  • o 2015. 12. 15. 유엔 중재 제2차 평화협상 개최
  • o 2016. 4. 21. 유엔 중재 제3차 평화협상
  • o 2017. 4. 25. 제1차 예멘 인도적 위기에 대한 고위급 공약회의(UN, 스위스, 스웨덴 공동주최/제네바)
  • o 2017. 12. 4. 살레 前예멘 대통령, 후티 반군에 의해 피살
  • o 2018. 4. 3. 제2차 예멘 인도적 위기에 대한 고위급 공약회의(UN, 스위스, 스웨덴 공동주최/제네바)
  • o 2018. 12. 6.-13. 마틴 그리피스 우엔 예멘 특사의 중재로 예멘 평화협상 개최(스웨덴) → 하디 정부-후티 반군 대표가 참석, 4개 협정 합의
  • o 2018. 12. 21. 유엔 안보리, 안보리 결의 2451호 만장일치 채택
  • o 2019. 5. 후티 반군, 호데이다, 살리프, 라스 이사 항구에서 철군
우리나라와의 관계
  • o 수교 일자 : 1985. 8. 22.(북예멘), 1990. 5. 17.(남예멘)
  • o 공관 현황
  • - 주예멘 한국대사관 1987.-1998., 2007. 12. 재개설, 2015. 4. 철수
  • ※ 박웅철 대사 2016. 11. 29. 부임, 리야드 임시사무소 운영 중
  • - 예멘 측 : 상주공관 없음 (1990. 2. 개설, 2001. 6. 폐쇄)
  • ※ Samir Mohamed Khamis 주일 예멘대사 겸임
  • o 한-예멘 양자교역 : 1.4억 달러 (무역협회, 2018년)
  • - 수출 : 0.9억 달러
  • - 수입 : 0.5억 달러
  • o 양국 간 투자 현황
  • - 한국→예멘 : 94건, 18.4억 달러 (한국 수출입은행, 2018년 누계)
  • - 예멘→한국 : 68건, 974만 달러 (한국 수출입은행, 2018년 누계)
  • o 에너지 자원 협력관계
  • - 원유 도입액(2011년) : 1.2억 달러 (20위, 점유율 0.1%) (2012년-2018년 실적없음)
  • - LNG 도입액(2014년) : 23.1억 달러 (6위, 점유율 6.3%)
  • o 교민 현황 : 5명(2019. 10.) ※ 현재 여행금지국 지정(2011. 6. 28.~)
  • o 주요인사교류
  • - 방문
  • 04. 03. 진대제 정통부 장관(대통령 특사)
  • 04. 07.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 - 방한
  • 04. 05. Baraba 석유.광물장관
  • 05. 04. Saleh 대통령
  • 08. 05.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 10. 06.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 10. 10. Ali Mujawar 총리 경유(아중동국장 출영)
  • 10. 11.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 12. 05. Talib 상공부장관
  • 13. 07. Ali Muthanna 외교차관
  • 13. 08. Ahmed Dares 석유광물장관
  • 14. 09. Abdulwasa 국회교통통신위원장
  • 14. 09. Essam Al-Samawi 대법원장
  • 15. 10. Fadhl Almaghafi 외교연수원장
  • 16. 02. Abdulmalik Al-Mekhlafi 외교장관
  • o 對예멘 공적원조 : 1991년-2018년 간 5,640만 달러 지원
  • - 무상원조 : 1991년-2016년 간 1,691만 달러 지원
  • KOICA를 통한 지원 : 666만 달러
  • 인도적 지원 : UN등 통해 1,425만 달러 지원 (2008년-2018년)
  • - 유상원조(EDCF) : 3,549만 달러
  • 2003년 통신망 확충사업 승인
  • 2007년 한국·예멘 고등기술훈련소사업 승인
북한과의 관계

    o 63.3월/68.2월 북예멘/남예멘과 각각 외교관계 수립

    o 현재 양측 상주대사관 없음 : 주이집트 북한대사관, 주중국 예멘대사관에서 겸임

    - 주예멘 북한대사관 : 70.3-98.1간 운영(이후 북한 경제대표부 운영하였으나, 09.6 철수)

    - 주북한 남예멘대사관 : 78.11-90.5(통일시 폐쇄)

    o 현재 예멘 체류 북한 근로자 모두 철수한 상태